세계 최대커피전문점 스타벅스가 러시아에서 영업을 시작한 지 15년 만에 간판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는 중국, 브라질 등과 신흥시장으로 공을 들였지만 결국 손을 떼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[크리스찬 르독스 / 스타벅스 투자연구 이사 : 필요한 조치라고 생각합니다. 스타벅스가 전쟁의 끝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러시아에서 합법적으로 계속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.] <br /> <br />맥도날드도 매장 철거를 서두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3월 철수를 선언한 이후 한 달에 수백 개의 매장이 문을 닫았습니다. <br /> <br />[이반 / 러시아 시민 : 문을 닫은 게 아쉬워요. 좋은 음식을 먹을 수 있는 곳은 여기밖에 없었어요.] <br /> <br />맥도날드는 러시아 내 850개 매장을 정리하며 최대 1조8천억 원가량의 손실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막대한 손해를 보고도 강행하는 것에 대해 맥도날드는 서방의 제재와 경영난을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은 철수를 결정한 진짜 속내는 기업의 이미지 때문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폴 머그로브 / 매사추세츠 애머스트대 교수 : 맥도날드 전체 수익 중 러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습니다. 하지만 실제적인 타격이 있습니다.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(전쟁을 일으킨 나라에서 영업을 한다는) 상징적인 부분일 겁니다.] <br /> <br />맥도날드 외에도 코카콜라와 넷플릭스, 에어비앤비 등 철수를 결정한 글로벌 기업은 총 4백여 개,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우방인 중국도 전자제품 수출을 줄이는 등 전쟁의 여파는 러시아 경제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움직임으로 국제통화기금, IMF는 지난해 4.7% 성장한 러시아가 올해 8.5% 마이너스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위기 속에서도 러시아는 원유와 가스 수출로 버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 유가 상승과 수입 감소에 힘입어 올해 최대 규모의 경상수지 흑자가 예상되는 등 여전히 러시아의 자금줄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선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52900552879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